[이슈폴폴] 패스트트랙 정국 연말 국회 강타<br /><br /><br />여론으로 풀어 보는 정치 이슈, 입니다.<br /><br />연말 국회는 패스트트랙 국회로 불러도 과언이 아닌데요.<br /><br />관련 여론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한편, 내년 총선 키워드로 청년이 떠오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20대 민심도 분석해보겠습니다.<br /><br />배종찬 인사이트케이 연구소장, 윤희웅 오피니언 라이브 여론분석센터장 나오셨습니다.<br /><br />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패스트트랙 정국이 연말을 강타하고 있습니다. 15명의 여야 의원들이 오늘 0시까지 필리버스터를 이어갔습니다. 연동형 비례대표제와 공수처법에 대한 패스트트랙 법안 처리, 국민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지 살펴보겠습니다. 일단 찬성이 과반을 넘어섰네요.<br /><br /> 찬성 쪽으로 기운 건 중도층의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겠는데요, 중도층의 찬성 의견이 높은 이유 어떻게 보십니까.<br /><br /> 여론조사 결과를 분석하다 보면 '양극화가 뚜렷하다. 진보·보수의 팽팽한 대립이다' 이런 얘기를 자주 합니다. 그런데 이런 일반적인 정치문법으로 설명할 수 없는 세대가 바로 20대 남성이라고 합니다. 20대 남성의 정치적 성향이랄까요. 특징은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정당 지지도를 먼저 살펴보겠습니다. 최근 한국갤럽 자료인데요, 보통 2030청년들은 진보 성향을 가지고 있다는 게 일반적인 생각입니다. 하지만 20대 남성의 경우 민주당 전체 지지도에 훨씬 못 미치는 20% 후반입니다. 그런가하면 30대 남성의 민주당 지지율은 52%를 기록했는데요. 이렇게까지 차이가 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지지하는 당이 없다고 밝힌 무당층은 20대 남성이 38%로 남녀세대별 분석에서 가장 높습니다. 저희가 표심에서 그렇게 중요하게 얘기해왔던 무당층, 중도층의 대부분이 20대 남성이라고 봐야하는 걸까요?<br /><br /> 그런가 하면 20대 여성의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전체 지지율보다도 높게 나타났습니다. 이 결과는 어떻게 분석해야하나요?<br /><br /> 이번에는 대통령 국정수행평가를 살펴보겠습니다. 역시 20대 남성의 선택, 정당지지율과 비슷하네요. 20대 남성이 여성에 비해 대통령에 대한 평가가 현저히 낮은 이유는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조사 결과로 보자면 20대 남성의 표심에는 아직 어떤 정치세력도 굳건하게 뿌리를 내리지 못한 것 같습니다. 반대로 말하자면 21대 총선에서 어떻게 이들의 마음을 흔드느냐에 따라 승기를 잡기 위한 핵심적 표밭이 될 수도 있다는 건데요. 20대 남성의 표심, 어떻게 공략해야 할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